까다롭고 어려운 안전인증에 대한 과정.

전기 안전 인증의 중요성과 절차.


식품 안전 인증의 중요성과 절차.


highlight bluetooth security

KC 안전인증

KC인증이란, 간단하게 국가에서 정한 제품들로 안정성에 대한 검사를 뜻합니다.

전기와 전파, 어린이용품 등, 우리나라 국민들이 사용하기에 유해성과 안전이 우려되는 제품들에 대해서 국가에서 안전 여부등을 검사하고 검사비를 지불해서 인증을 받은 후에 중국 구매 대행이나 수입으로 판매할 수 있도록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십니다.

toys_fan

식품 검역은 매우 까다롭습니다. 단순 배송대행과 달리, 식품 검역은 오랜 기간 진행해 본 경험이 있는 전문성을 가진 업체에 맡겨야 하는데, 소싱차이나의 노하우를 이용해 빠르고 확실하게 도움 드리겠습니다.

coffee flatware security

식품 안전인증

일반적으로 입과 식품이 닿는 모든 제품은 검사 대상입니다. 주방 용품이 식약처 정밀 검사 대상에 해당되며, 검사가 각각 따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검사 중 제품이 분해 및 파손 되는 경우가 많아 샘플 제품의 경우 반납 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이를 고려해 발주 전 체크 해주셔야 합니다.


·


안전인증

유형별로 알아보자!

전기전자 제품


필요인증

KC 전기용품 안전인증

인증구분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담당기관

국가기술표준원 / KTL

비고

제품마다 3단계 구분(안전인증확인/공급자적합성)

배터리,충전기 등


필요인증

KC 전기용품인증 + 전자파 적합성

인증구분

전기•전자 이중인증

담당기관

국가기술표준원 / RRA

비고

리튬배터리 제품 대부분 포함

무선 제품


필요인증

KC 전자파 적합성 인증

인증구분

전파법 인증

담당기관

국립전파연구원 (RRA)

비고

통신기능 있는 제품은 모두 해당

LED조명,가전조명


필요인증

KC 전기안전 + 전자파 인증

인증구분

복합인증

담당기관

KTC,KTR,RRA 등

비고

대부분 전자파 + 전기안전 이중 적용


완구/유아용품/아동복


필요인증

KC 어린이제품 안전인증

인증구분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담당기관

국가기술표준원

비고

유아 장난감,의류,학용품 등 모두 대상


미용기기(LED마스크 등)


필요인증

KC 인증 + 의료기기 여부 확인

인증구분

KC / 식약처

담당기관

국가기술표준원 / 식약처

비고

의료기기로 분류되면 별도 허가 필요

의료기기(체온계,혈압계등)


필요인증

의료기기 수입 허가

인증구분

의료기기법

담당기관

식약처

비고

제조•수입업 등록 + 허가번호 필요

화장품


필요인증

수입화장품 신고

인증구분

화장품법

담당기관

식약처

비고

성분분석 자료 + 수입신고 필요


식품/건강기능식품


필요인증

수입식품 신고

인증구분

수입식품안전관리

담당기관

식약처 / 농림부

비고

HACCP, 수입영업 등록 필요

가구,주방용품,생활용품


필요인증

KC 공급자적합성 또는 안전확인

인증구분

제품별 상이

담당기관

국가기술표준원

비고

품목별 안전기준 존재


·


flight brightness_high thumb_up

중국상품 수입으로
판매만 집중하실 수 있도록 소싱차이나가 더 열심히 뛰겠습니다.